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개기월식 블러드문 촬영법·시간·소원·꿈해몽 총정리 (국내 명당 3곳 포함!)

by 인생관리 3대장 2025. 9. 10.
반응형

1. 개기월식, 블러드문이란?

개기월식, 블러드문

 

개기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서 빛이 사라지는 현상이에요. 달이 온통 붉게 물들면, 이를 **블러드문(피의 달)**이라고 불러요. 하늘이 어두워지며 달이 붉은빛으로 보이는 장면이 정말 아름다워요.

작년에 개기월식을 한 번 본 적 있는데, 친구들이랑 같이 보고 사진 찍었어요. 달이 점점 사라지더니 마지막엔 빨갛게 변하더라구요. 너무 신기해서 한동안 말이 안 나오더라고요.

2. 동영상 촬영방법

개기월식, 블러드문 사진 촬영방법

 

블러드문을 동영상으로 찍을 때 유의할 점이 있어요.

  • 삼각대 필수! 손으로 들고 찍으면 흔들려서 흐릿하게 나와요.
  • 타이머 또는 리모컨 사용: 버튼 누를 때 흔들리는 걸 막아줄 수 있어요.
  • 줌 렌즈 또는 망원 모드 사용: 달이 작게 찍히면 감동이 줄어요. 줌을 최대한 당겨서 달 크기를 크게 찍어보세요.
  • ISO는 너무 높게 하면 화면이 밝아져서 달의 붉은 색이 잘 안 보일 수 있어요. 적당한 ISO (예: 400)와 셔터 속도(1/125초)로 설정해 줘요.
  • 수동 초점: 자동 초점으로 하면 달에 제대로 초점을 못 맞출 수 있으니, 수동 초점으로 끝까지 선명하게 맞춰 주세요.

제가 실제로 찍어 본 결과, 삼각대 + 수동 초점만 잘 맞췄더니 달이 또렷하게 크고 붉게 찍혀서 감동이 두 배였어요!

3. 촬영 시간과 위치

어느 시간대에 나타나는지 알고 준비해야 놓치지 않겠죠?

  • 일정 확인: 개기월식이 언제 일어나는지는 인터넷에서 “개기월식 다음 일정”으로 검색하면 쉬워요.
  • 부분월식–개기월식–회복까지 전체 과정: 전체 과정은 보통 몇 시간 걸려요.
  • 정확한 시작과 끝 시간은 전문 천문 사이트나 포털에서 확인하세요. 예) 부분식 시작, 개기월식 시작, 최고조(피 붉은 달), 개기월식 끝, 부분식 끝까지 시간 별로 알아두면 좋아요.
  • 주변에 빛이 적은 장소: 밝은 가로등이나 빌딩 불빛 많은 곳은 피해야 달 색감이 잘 살아나요. 공원이나 들판 같은 어두운 장소가 좋아요!

4. 소원 주기, 꿈해몽

개기월식, 블러드문 소원주기 꿈해몽

 

얼핏 들으면 “달이 빨개지면 소원을 빌어야 한다”고 할 것 같지만, 그건 전통적인 속설이에요.

  • 소원을 빌면 이루어진다는 말이 있지만, 과학적으로 근거는 없어요. 단지 모두 함께 감탄하며 즐기는 마음이 중요해요!
  • 꿈해몽으로 보면, 붉은 달은 감정, 열정, 변화 그리고 새로운 시작을 의미한다고 봐요. 개기월식을 보는 꿈은, 오래 기다리던 일이 곧 이루어질 수 있다는 희망의 상징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시험 준비 열심히 했는데 개기월식을 본다면, 마음속에서는 “곧 결과가 나올 거야”라는 조용한 자신감을 주는 상징이 될지도 몰라요.

5. FAQ (자주 묻는 질문)

Q1. 스마트폰으로도 찍을 수 있나요?
A. 네! 삼각대 + 망원 모드가 가능한 스마트폰이라면 충분히 촬영할 수 있어요. ‘망원렌즈 클립’ 같은 보조렌즈를 사용하면 더 좋아요.

Q2. 개기월식은 언제까지 기다려야 하나요?
A. 다음 개기월식 날짜는 천문 사이트나 포털 검색창에 “다음 개기월식 언제”라고 검색하면 정확한 일정이 나와요.

Q3. 날씨가 흐리면 어떻게 하나요?
A. 하늘이 흐리면 달이 잘 안 보여요. 일기 예보를 꼭 확인하고, 흐림이 적은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흐린 구름 사이를 노리는 게 좋아요.

Q4. 동영상 vs 사진, 뭐가 더 좋을까요?
A. 동영상은 월식 과정을 한눈에 담아 움직임과 감동이 있어 좋아요. 사진은 한 장 한 장 색감과 구도를 정성 들여 찍기 좋아요. 둘 다 준비하면 더 풍성해요!

6. 꼭 절대 놓치면 안되는 포인트!

  • 녹화 시작 타이밍은 조금 여유 있게 미리: 개기월식 시작 전 최소 10분 정도 일찍 삼각대, 구도, 초점 등을 다시 한 번 확인하세요. 영상 초반에 달이 원래 모습인 상태도 기록에 남아있어 좋습니다.
  • 보조 배터리 준비: 월식은 수십 분~수 시간 이어질 수 있어서, 배터리가 금세 떨어질 수 있어요.
  • 다양한 구도 시도하기: 비슷한 구도만 반복하지 말고, 달을 화면 가운데에 두지 말고 약간 이동하거나 흥미로운 풍경을 함께 넣어보세요.
  • 후편집에서 색 보정 조금 더 붉게!: 촬영 후 프로그램(예: 핸드폰 기본 편집, 라이트룸 등)에서 색온도나 붉은 톤을 조금 올려주면 블러드문 특유의 붉은 색을 더 생생하게 살릴 수 있어요.

+ 개기월식(블러드문)을 잘 관측할 수 있는 최고의 장소 3곳

1. 서울 달맞이공원 (남산 자락)

  • 특징: 도심 한복판에 위치했지만 사방이 트여 있어 건물이나 나무에 가려지지 않고 달의 이동 과정을 처음부터 끝까지 관측할 수 있어요. 공원 내부 조명도 밝지 않아 눈의 피로가 적고, 밤하늘 변화도 비교적 선명하게 보입니다.
  • 장점: 접근성이 뛰어나 가족 또는 연인과 함께 부담 없이 방문하기 좋아요. 붉게 물드는 달과 도시의 야경이 어우러지는 장관도 사진으로 담기에 적절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2. 강원 영월 별마로 천문대

  • 특징: 빛 공해가 거의 없는, 하늘이 맑고 어두운 지역에 자리 잡은 천문대로, 깊이 있는 관측 환경을 자랑해요.
  • 장점: 달이 붉게 물드는 밀도 높은 순간을 보다 명확하게 경험할 수 있습니다. 천문대의 전문 장비와 해설이 더해지면 관측의 깊이와 재미도 배가돼요.

3. 밀양 아리랑천문대 (Miryang Arirang Space Observatory)

  • 특징: 개기월식 당일, 오전 1시부터 5시까지 오프라인 관측과 동시에 온라인 생중계, 천체망원경 관측 및 플라네타리움 강의를 함께 제공하는 특별 프로그램을 운영했어요.
  • 장점: 천문학적인 이해와 함께 실제 현장 감동을 함께 느낄 수 있다는 점이 매력입니다. 초심자도 전문가 설명을 들으며 편안하게 즐길 수 있어요.
반응형